반려묘 보호자들이 동물병원 응급실을 찾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호흡 곤란 증상이다. 호흡기에 발생하는 질환은 천천히 증상이 심화하기도 하지만, 몇 가지 경고 증상만 보이고 갑작스레 발현하기도 한다. 반려동물이 제대로 숨을 쉬지 못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현상이며 건강이 급속히 악화되어 위태로운 지경에 빠질 수 있다.
어떤 동물이든 호흡이 불안정하면 당장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응급실의 수의사는 신속하게 진찰한 후 원인에 맞는 응급 치료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고양이의 호흡 곤란 증상
호흡 곤란이나 호흡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반려동물이 계속해서 기침하고 힘들게 숨을 쉬거나 울음소리가 평소와 다르고 운동량이 줄어든 것 같다면 호흡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의 심각한 증상은 아래와 같다.
숨쉬기를 힘들어하는 것 외에 평소보다 호흡이 가빠지는 것과 같은 동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양이의 호흡 곤란의 원인과 병세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치료법과 예후도 상태에 따라 다르다.
호흡 곤란을 겪는 동물 대부분은 산소 주입으로 효과를 본다. 동물의 체구와 상태별로 산소 치료법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동물의 상태가 불안정하다면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마취를 할 수도 있다.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면 안정을 위해 다른 응급 치료가 시행되기도 한다.
폐에 찬 물을 빼는 흉강 천자나 기관을 절개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기관 삽입 또는 산소 호흡기 치료 등도 가능하다.
진단 검사
혈액 검사, 엑스레이, CT나 초음파 촬영, 기관지 내시경과 기관지 세척 등의 방법으로 동물병원에서 고양이의 호흡기 상태를 검사해 볼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Quimby, J., & Lappin, M. (2009). Feline focus: Update on feline upper respiratory diseases: introduction and diagnostics. Compendium (Yardley, PA), 31(12), E1-7.
Ward, J. L., Lisciandro, G. R., Keene, B. W., Tou, S. P., & DeFrancesco, T. C. (2017). Accuracy of point-of-care lung ultrasonography for the diagnosis of cardiogenic pulmonary edema in dogs and cats with acute dyspnea.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50(6), 666-675.
Sleeper, M. M., Roland, R., & Drobatz, K. J. (2013). Use of the vertebral heart scale for differentiation of cardiac and noncardiac causes of respiratory distress in cats: 67 cases (2002–2003).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42(3), 366-371.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