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에 처한 개 품종 5가지
여러분이 곧 멸종될 동물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곰이나 고래를 떠올릴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개 품종도 있다. 계속해서 이 글을 읽고 멸종 위기에 처한 개들에는 어떤 품종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멸종 위기에 처한 개?
전 세계에 수많은 개가 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특정 품종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다른 개들과 교배되었거나, 출산율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구상에 남아 있는 이러한 품종을 가진 순종 개들의 수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다음은 그 품종들의 예이다.
1. 노르웨지안 룬데훈트
노르웨이 태생의 이 개는 작고 스피츠 종의 개이다. 이 품종의 이름은 퍼핀을 의미하는 접두사 “룬데”에서 유래되었고, 개를 의미하는 접미사 “훈트”에서 유래되었다. 위의 사진 속의, 룬데훈트는 새와 그들의 알을 사냥하기 위해 길러졌다.
이 개 품종의 특징 중 하나는 각각의 발에 6개의 발가락이 나 있고, 목에는 관절이 있어서, 다른 어떤 개보다 머리를 잘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개들은 꼬리가 등 위로 굽어 있고, 털은 갈색, 흰색, 회색으로 다양할 수 있다.
2. 블랙 앤드 탄 쿤하운드
쿤하운드(Coonhound)는 “너구리 사냥꾼”을 의미한다. 그들은 쿤하운드 과로 인정되는 여섯 가지 품종 중 하나이다.
이 품종은 다른 모든 쿤하운드와 마찬가지로 밭과 농작물을 파괴하는 작은 포유류 포획을 돕기 위해 미국에서 길러졌다.
블랙 앤드 탄 쿤하운드는 몸집이 큰 사냥개로, 튼튼한 뼈와 우수한 근육 그리고 두드러진 코가 달린 머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성격에 관해서는, 매우 독립적이고 활동적이며 온순한 편이다.
3. 풀리
풀리는 멸종 위기에 처한 개 명단에 이름을 올린 또 다른 품종이다. 본래는 헝가리 태생으로, 몸집은 소형에서 중형이며, 생후 6개월 후부터 형성되는 “곱슬”거리거나 “드레드락”이 있는 털로 잘 알려져 있다.
풀리는 매우 다정하고,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목축개로, 경비견으로서도 훌륭한 품종이다. 그들은 도시에서나 혹은 시골에서나 생활에 잘 적응하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매일 많은 운동이 필요하다.
4. 로디지안 리지백
이 품종은 남아프리카에서 길러진 우아하고 아름다운 개이다. 이 개들은 민첩하고 빠르다(시속 65km까지 달릴 수 있다). 그래서 사냥개, 반려견, 또는 경비견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로디지안 리지백은 짧은 적갈색의 털과 등에 일종의 ‘역모’가 나 있다. 성격에 관한 한, 충성스럽고, 총명하며, 차분하고, 강인하며, 방어적이고, 아이들에 대한 인내심이 강하다.
5. 아펜핀셔
이 목록에 있는 멸종 위기에 처한 개 중 마지막 품종은 작고 아주 특이한 개이다. 우선, 이 품종의 이름은 독일어로 “핀셔-원숭이”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크고 둥근 털이 복슬복슬한 머리와 짧고 뻣뻣한 검은 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펜핀셔는 뾰족한 귀와 우세한 아래턱을 가진 튼튼한 개이다. 크기는 30cm 미만이며 무게는 3kg이 조금 넘는다. 이 개들은 똑똑하고, 빈틈이 없으며, 다정하고 활동적이다.
불행히도, 이 글에서 언급되었어야 할 멸종 위기에 처한 다른 개 품종들도 있다.
차이니즈 크레스티드 도그, 카탈부룬, 페루비안 헤어리스 도그, 베들링턴 테리어, 카타훌라 레오파드, 티베탄 마스티프, 무디 도그, 멕시칸 헤어리스 도그, 타이 리지백, 오터하운드 등이 이에 속한다.
이 글은 어떤가요?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Stronen, A. V., Salmela, E., Baldursdottir, B. K., Berg, P., Espelien, I. S., Jarvi, K., … Pertoldi, C. (2017). Genetic rescue of an endangered domestic animal through outcrossing with closely related breeds: A case study of the Norwegian Lundehund. PLoS ONE.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