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개는 입 주위를 핥을까?

개는 보디랭귀지로 소통한다. 개가 입 주위를 핥는 이유가 궁금했던 적이 있는가? 입을 핥는 행위는 다양한 불안을 의미하는 신호다.
왜 개는 입 주위를 핥을까?
Luz Eduviges Thomas-Romero

작성 및 확인 생화학자 Luz Eduviges Thomas-Romero.

마지막 업데이트: 21 12월, 2022

반려견 입 주위를 핥을 때 사실은 주인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물론 음식을 먹고 있거나 침을 흘려서 입술을 핥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런데 만일 주위에 음식이 없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개는 왜 입 주위를 핥는 것일까?

입술을 핥는 행위는 개의 소통 방식이다. 입 주위를 핥는 보디랭귀지를 통해 자기 기분을 알리려는 것이다. 반려견이 입 주위를 핥는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왜 개는 입 주위를 핥을까?

음식을 먹을 생각에 입 주위를 핥는다

개가 입 주위를 핥는 가장 명백한 이유는 음식을 먹을 생각이 들어서다. 침 분비가 증가하는 것도 흔한 현상이다.

개가 입 주위를 핥는 이유
실제로, 맛있는 음식이 우리 입에 들어오리란 생각에 침이 고이는 것은 인간도 마찬가지다.

카밍시그널을 보내면서 입 주위를 핥는다

전문 훈련가들에 따르면, 입 주위로 빠르게 나왔다가 들어가는 혀의 움직임은 보통 카밍시그널이라고 불리며, 비슷한 행동을 동반한다.

개가 입 주위를 핥는 것은 주위 환경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편하다고 느껴서다. 위협이라고 느끼는 상황이 오면 공격을 피하고자 카밍시그널을 보내는 것이다.

장난 때문에 자주 혼나는 개를 예로 들 수 있다. 혼날 때 개는 주인을 위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개는 입 주위를 핥으면서 시선을 피하는 것으로 카밍시그널을 보낸다. 이런 신호는 개가 자기 행동이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위협이 아니라는 점을 말하는 방식이다.

겁이 나서 입 주위를 핥을 수도 있다

겁이 많은 개도 입술을 핥을 수 있다.  개는 혼란스럽거나 좌절했을 때 입 주위를 핥고 하품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행동은 훈련 시 개가 배운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할 때 볼 수 있다.

오심, 통증, 구강 질환이 있다

오심, 구강 질환 또는 입에 통증이 있는 것도 개가 입 주위를 핥는 중요한 이유다. 반려견이 평소보다 입술을 핥거나 침을 많이 흘리면,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의학적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반려견이 입술을 핥는 이유

질병이 있다는 다른 신호가 있는지 살펴보고 개를 가까이서 관찰한다. 신체적 통증이나 장 내 질환이 있을 수도 있다.

불안해서 입 주위를 핥을 수도 있다

30분, 2시간, 4시간 동안 주인과 떨어져 있을 때 개의 행동을 관찰한 연구가 있다. 떨어져 있던 시간이 길수록, 주인과 다시 만났을 때 입술을 핥고 몸을 흔드는 개도 더 많았다.

동물병원이나 불안한 장소에 있을 때 개가 입 주위를 핥는다면, 긍정적인 방법으로 개의 주의를 돌린다. 이를테면 손을 달라는 등의 기술을 선보이게 하고 간식으로 보상하는 방법이 있다. 두려움이나 불안을 더 키우기만 하므로 반려견을 위로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개가 입 주위를 핥는 행동은 무리를 지어 살던 생존 습관에 뿌리를 둔 보디랭귀지다.

개는 무리에서 갈등을 피하고 서로 소통하는 방식으로 카밍시그널을 발달시켰다. 이렇듯 개가 다른 개나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카밍시그널이 대략 30가지라고 추정된다.

반려견이 입 주위를 언제, 어떻게 왜 핥는지 관찰하는 게 중요하다. 이런 신호가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암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마다 다르기 마련이지만, 시간을 조금만 들이면 개가 보내는 메시지를 확실히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어떤가요?
반려견 훈련에 필요한 카밍시그널
My Animals
읽어보세요 My Animals
반려견 훈련에 필요한 카밍시그널

반려견 훈련에 보호자가 긴장한 모습을 보이면 개는 명령을 듣지 않는다. 또한, 두려움을 느끼는 반려견을 안심 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려견 훈련에 필요한 카밍시그널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제부터 카밍시그널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Firnkes, A., Bartels, A., Bidoli, E., & Erhard, M. (2017). Appeasement signals used by dogs during dog–human communication. Journal of Veterinary Behavior, 19, 35-44.
  • Siniscalchi, M., d’Ingeo, S., Minunno, M., & Quaranta, A. (2018). Communication in dogs. Animals, 8(8), 131.
  • Bueno, R. Á. (2018). Etología canina: Guía básica sobre el comportamiento del perro. Veterinaria.
  • Ruíz Ferro, C., & Cantor Muñoz, P. (2019). ¿Cómo hablar perro?: perro negro, diseño animal. Repositorio de tesis de la Universidad de Bogotá Jorge Tadeo Lozano

'My Animals'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