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의 눈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
고양이의 눈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길고양이의 눈이 흐릿하거나 두 눈 중 한쪽이 좀 더 많이 감겨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고양이가 눈 질병을 앓는 것은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니다.
이것이 고양이의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다. 최대한 반려묘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 고양이의 눈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과 그 증상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고양이의 눈 질병을 알 수 있는 신호 및 예방 방법
집에서 편하게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반려묘의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고양이의 털을 정리해주면서 이러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고양이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병 7가지
고양이의 눈 질병을 제대로 확인하려면 보호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가볍게 반려묘의 눈꺼풀을 들어 올리고 그 주변을 살펴본다. 붉거나 흰색이 아니라 분홍색이 정상이다.
고양이의 눈 질병을 알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위험 신호는 다음과 같다.
- 흰색의 분비물
- 과도한 눈물
- 눈꺼풀 주변의 붉거나 흰색 조직
- 눈 양 끝에 딱딱하고 건조한 눈곱 등의 잔여물
- 눈물에 털이 섞여 나오는 증상
- 눈 양쪽 또는 한 쪽이 감겨있는 경우
- 눈동자가 흐릿하거나 눈동자 색의 변화
- 제3안검으로 인해 매우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경우
반려묘의 보디랭귀지를 잘 살펴본다면 고양이의 눈 상태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도 있다. 고양이가 눈 주위를 너무 많이 긁거나 평소보다 더 둔해 보이는 경우 그것은 눈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일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고양이가 아플 때 보이는 행동과 증상
고양이의 눈 질병 종류
고양이가 가장 흔하게 걸릴 수 있는 눈 질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결막염: 이것은 눈꺼풀 안쪽과 눈의 흰색 부분에 얇고 투명한 조직인 결막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반려묘의 눈이 붓거나 충혈, 액체가 분비되는 경우, 고양이는 결막염에 걸린 것일 수 있다.
- 제3안검의 돌출: 많은 동물들이 자연적으로 제 3 안검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감염이 쉽게 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에 붓기가 느껴진다면 반려묘가 또 다른 질병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각막염:각막에 염증이 생긴 것이고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다.
- 녹내장: 이것은 눈의 액체 압력이 자연적으로 증가해서 신경 세포가 손상되는 것이다. 이 질병의 가장 일반적인 신호 중 하나는 각막이 흐려지고 눈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것이다. 이것은 눈구멍에 엄청난 압력을 가하게 된다.
- 싸움이나 사고로 인해 눈에 부상을 입는 경우
- 과도한 분비물 또는 질병으로 인한 붓기로 눈물샘이 막히는 경우
고양이의 눈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
매우 간단한 눈 닦아주기 만으로 고양이의 눈 건강이 얼마나 좋아질 수 있는지 안다면 매우 놀랄 것이다. 고양이가 자연적으로 분비하는 과도한 양의 딱딱한 눈곱을 닦아주는 전용 제품을 사용한다.
고양이는 매우 깔끔한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성향은 감염과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좋은 습관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반려묘가 앞서 언급한 질병에 걸리게 된다면 바로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는 것이 좋다. 수의사는 해당 증상에 맞는 적절한 약물이나 안약을 처방해줄 것이다.
이 글은 어떤가요?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Stiles, J. (1995). Treatment of cats with ocular disease attributable to herpesvirus infection: 17 cases (1983-1993).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7(5), 599-603.
- La Croix, N. C. (2005). Ocular manifestations of systemic disease in cats. Clinical techniques in small animal practice, 20(2), 121-128.
- Cunningham Jr, E. T., & Koehler, J. E. (2000). Ocular bartonellosis.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30(3), 340-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