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음식 알레르기를 예방하는 법
사람과 마찬가지로 개들도 특정 음식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니 먼저 음식 과민증과 음식 알레르기를 구분하는 법부터 알아야 한다.
음식 과민증과 음식 알레르기
일반적으로 음식 과민증은 몸에 맞지 않는 음식을 먹을 때마다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음식 알레르기는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인다.
가슴, 다리, 겨드랑이, 항문과 귀 등을 긁는 것도 음식 알레르기 증상일 수 있다. 심하게 긁으면 해당 부위가 빨개지거나 상처가 생기기도 한다.
개가 혼자 긁어서 생긴 상처는 감염되기 쉬우며 눈 충혈, 털 빠짐 같은 증상도 알레르기가 원인일 수 있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에는 닭고기, 송아지고기, 생선, 달걀, 양고기, 옥수수, 콩과 밀 등이 있는데 사료에 많이 들어가는 재료이기도 하다.
개들은 왜 음식 알레르기를 앓게 될까?
인간처럼 개의 몸도 음식에 함유된 특정 단백질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 결과 면역체계가 병균으로 착각하고 체내에서 쫓아내려고 한다.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고 추측된다면 절대 보호자가 알아서 대처하려 하지 말고 병원에 가도록 한다.
음식 알레르기는 옴, 벌레 물림, 기생충, 아토피 등과 증상이 비슷하다. 개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처방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수의사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한다.
더 읽어보기: 체외 기생충을 막는 효과적인 팁
개의 음식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법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는 진단을 받으면 원인이 되는 음식을 제외한 식단을 처방받고 약 6주~12주간 그 식단을 지켜야 한다.
처방식을 다 먹이면 다시 평소처럼 급식하며 알레르기의 원인이 됐던 음식에 반응하는지 살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제외 식이와 유발 검사다.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반응하는 개는 가수 분해 단백질 성분을 포함한 사료를 먹어야 할 수도 있다.
가수 분해한 단백질은 효소를 불활성화해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저자극성 분자이기 때문에 소화하기 쉽다.
이런 처방 사료 대신 수제 먹이도 추천할 수 있는데 ‘바프’ 즉 생식 식단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관리하는 것이다.
반려동물의 알레르기가 심하다면 수의사는 항히스타민제와 부신 피질 호르몬 처방을 내릴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개 털빠짐의 원인과 치료
바프 식단이란 무엇인가?
바프는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생식’의 줄임말이다.
바프 식단은 야생에서 살던 시절에 먹던 것처럼 생고기, 식물 단백질, 약간의 기름, 요구르트, 치즈와 탄수화물로 식단을 구성한다. 완전히 날 것으로 주거나 살짝만 익혀서 급여한다.
뼈에 붙은 고기, 내장, 날고기와 과일도 식단에 추가해서 안전하게 먹일 수 있다.
바프 식단은 개의 조상인 늑대와 대량 생산된 사료가 나오기 전 개들의 식생활을 따라서 만든 것이다. 박테리아 문제로 생식이 고민된다면 먹이를 3일 이상 냉동해뒀다가 먹인다.
바프 식단은 보호자의 시간 투자와 비용은 물론 불균형한 영양 공급이 단점이 될 수 있다. 반면 대량 생산된 먹이는 비타민까지 필수 영양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의 음식 알레르기는 특정 음식 성분에 대한 반응으로 해결책은 저마다 다르다. 어떤 치료법이든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한 후에 진행해야만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Thes, M., & Dillitzer, N. (2015). Balanced feeding of puppies with raw food - how can we check the nutrient supplementation? Welpen Richtig BARFen - Welche Kontrollmoglichkeiten Der Nahrstoffversorgung Gibt Es?
- BUCHANAN, B. B., & FRICK, O. L. (2010). The Dog as a Model for Food Allergy.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https://doi.org/10.1111/j.1749-6632.2002.tb041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