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눈 밑에 눈물 자국이 생기는 이유
눈 밑에 눈물 자국이 있는 개를 흔히 볼 수 있다. 강아지였을 때는 없었는데 크면서 얼룩이 생긴 예도 있을 것이다. 이런 눈물 자국은 왜 생기는 것일까? 없앨 수 있는 것인가? 함께 알아보자.
개의 눈 밑에 눈물 자국이 생기는 이유
눈물
눈 밑에 생기는 얼룩의 주된 요인은 바로 과도한 눈물이다. 눈물관이 막히면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물관이 막힌 채 태어나는 견종도 많다. 해당되는 견종은 눈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못한다. 따라서 눈물관이 가득 차게 되고 눈 속에 고여있는 눈물이 밖으로 흘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눈물 문제로 인해 반려견의 눈이 늘 젖어있고 우는 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눈물 방울이 눈 밖으로 계속 흘러나와 눈 밑에 미적으로 보기 좋지 않은 눈물 자국을 만들어 낸다.
알레르기
눈물 자국을 유발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에는 알레르기가 있다. 피부나 음식이나 다른 알레르기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알레르기가 있으면 사람도 그렇듯 반려견의 눈이 붓고 눈물이 나게 된다. 이렇게 끊임없이 흐르는 눈물 탓에 자국이 생긴다.
감염
눈에 감염 질환이 생기면 화농과 눈물이 생길 수 있고 눈 밑에 자국을 유발할 수 있다. 어쩌면 감염으로 보이는 상황이 사실은 단지 눈 안에 무언가가 들어가서 아프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잘 들여다보고 잘 모르겠다면 만지지 않도록 한다. 수의사가 보는 편이 낫다.
나이
강아지가 자라남에 따라 눈물은 점점 더 산성을 띠게 된다. 보기 싫은 눈물 자국을 만들어내는 주범이 바로 이 산성이다. 늙은 개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 또한, 늙은 개는 강아지일 때보다 눈물관이 막히는 일이 더 잦아진다.
견종
일부 견종은 눈물관이 막힌 채 태어나거나 눈꺼풀이 너무 짧은 때도 있다. 눈꺼풀이 짧으면 눈을 움직일 때 지나친 힘을 들이게 되고 눈물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눈 주위에 털이 많은 견종도 있다. 털이 안구로 들어가면 눈물이 과도하게 흐르게 되고 자국이 생길 수 있다.
눈물 자국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반려견에게 눈물 자국이 생겼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눈 밑을 닦아주기
매일 반려견의 눈 밑을 닦아주는 것이 눈물의 산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최고의 예방책이며, 꾸준히 닦아준다면 자국이 옅어질 것이다. 젖은 거즈로 닦아주어도 충분하지만 가끔은 생리 식염수에 적신 수건으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닦아주면 좋다.
눈 주위 털을 정리하기
눈 주위에 털이 많은 견종이라면 털을 다듬어주는 것이 눈물 자국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눈 주위를 닦아도 자국이 없어지지 않는다면 피부가 원래 색을 되찾을 때까지 조금씩 털을 잘라준다.
밥통 교체하기
일부 개들은 플라스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주인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반려견의 눈물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어쩌면 알레르기가 원인일 수 있다. 반려견의 물통과 밥통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바꿔주고 눈물이 지속되는지 살핀다.
정수 물
인간 뿐만 아니라 반려견에게도 수돗물이 좋지 않을 수 있음을 잊는 경우가 있다. 반려견에게 정수 물이나 생수를 주어 몸속에 미네랄이 과하게 쌓이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눈물 자국이 덜 생길 것이다.
바다소금과 물을 이용해 집에서 매일 눈물 자국을 닦아줄 수 있다. 꾸준히 반복한다면 자국이 옅어질 것이다. 인내심을 가진다면 완전히 없앨 수 있을 것이다. 화이팅!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eneses, M. C., & Serna, M. (2002). Tratamiento para el conducto nasolacrimal obstruido. Veterinaria (Montevideo), 37(146), 17-19.
- Camps Rabadà, J. (2011). Perro, blanco con manchas oscuras, pintado en el sarcófago de Khui. Egipto hace 4.000 años. Recuperado el 21 de enero de 2022, disponible en: https://ddd.uab.cat/pub/estudis/2011/123784/jcampsapu_15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