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끼 강아지의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사실, 새끼 강아지의 딸꾹질은 전혀 걱정할 일이 아니다. 강아지 횡격막이 자연스럽게 수축해서 나타나는 증상인데, 너무 많이 먹거나 계속해서 움직이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딸꾹질을 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긴 하지만 몇 분만 지나면…
위생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더라도 반려견에게서 불쾌한 "비린내"가 난다면, 특정 피부병을 앓고 있을 수 있다.
반려견과 한 가족이 되어 함께 사는 것은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 하지만 다른 동물과 함께 생활하다 보면 당연히 불편한 점도 생기게 마련이다. 이 글에서는 젖은 개의 비린내를 없애는 팁을 공유한다. 우리는 특히 개가 물에 젖었을 때, 익숙하지 않은 꽤 강하고 특징적인 냄새를 맡게 된다. 이는 집 안의 위생 상태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이 냄새는 부패할 때 나는 시큼하고 비릿한 냄새와 비슷하다. 특히 날씨가 덥고 습할 때 이 냄새는 더 심해진다. 이렇게 강한 냄새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의 생리학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피부 과학의 측면에서 이야기해 보자. 개의 털은 탈수 증세를 예방하고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이 아래에는 여려 겹의 지방층이 있다. 이 기름진 피부층은 먼지나, 미처 완벽하게 배출되지 못한 박테리아와 노폐물 등으로 덮여 있다.
그래서 물에 젖으면 이러한 물질들 때문에 불쾌하고 강한 냄새가 나는 것이다. 이 냄새는 반려견의 몸이 닿는 카펫이나 가구처럼 생활 공간 곳곳에 묻기도 한다.
목욕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한 반려견에게서 냄새가 아예 안 나도록 하는 일은 어렵다. 하지만 아래의 조언에 따라 관리한다면 아예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물과 백식초를 섞어서 털에 뿌려준다. 이때 식초는 약간만 타줘야 피부에 자극이 가지 않고 시큼한 식초 냄새가 나지 않는다.
빗질을 해줄 때 베이킹 소다를 털에 솔솔 뿌려준다.베이킹 소다는 천연 데오토란트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없다.
개의 비린내를 없애는 데 전용으로 출시한 데오도란트가 시중에 많이 있다. 하지만 이런 제품은 화학 성분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반ㄷ시 성분 확인을 하고, 과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항상 집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은 가능한 많이 햇빛에 노출될 수 있도록 산책을 자주 나가야 한다.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서 최소한 하루에 한 번은 햇빛을 쬐야 한다. 충분히 햋빛 아래서 시간을 보내면 개의 냄새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지 않으면 목욕을 시켜도 금세 다시 냄새가 난다. 우선 생활 공간을 말끔하게 청소한 뒤에 식초와 베이킹 소다를 뿌려주면 더욱 효과적으로 개의 비린내를 잡아준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책을 모두 동원해 봤지만, 여전히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반려견이 피부병을 앓고 있을 수 있다.
특히 개가 가려워 하거나, 피부에 각질이 일어나고 색이 변하는 부분이 있다면 더욱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도록 한다. 반려견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야 한다.
아토피는 특정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아토피에 걸린 개의 피부는 진드기나 진드기의 배설물, 곤충, 곰팡이, 꽃가루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음식에 의해서도 심해질 수 있으며 반려견의 피부가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박테리아에 취약한 상태가 되게 한다.
개의 비린내를 예방하거나 없애는 것은 냄새의 요인이 무엇이냐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 가능하다.
반려견과 함께하는 행복한 생활을 위해서 노력해 볼 가치가 있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