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식분증을 치료하는 방법
반려견이 흔히 하는 행동 중에 반감과 혼란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있는데, 바로 식분증이다. 식분증이란 개가 자기 것이나 다른 동물의 배설물을 먹는 행위를 일컫는다. 왜 그러는 걸까? 식분증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식분증의 원인
반려견이 식분증 증세를 보이는 원인에 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 주인이 잘 알고 있어야 어떻게 이런 행동을 막을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텐데, 반려견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치료해야 한다.
수의학적 원인
식분증은 반려견의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소를 흡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췌장염이나 내장에 염증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음식에 지방이 과해서 그럴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질병이 있는 경우라면, 식분증 외에도 다른 증상이 나타날 것이다. 가장 흔한 증세로는 설사가 있다. 거식증, 구취, 물을 눈에 띄게 많이 마시는 증세 등을 보이기도 한다.
행동학적 원인
처음에는 식분증이 의학적 이유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원인이 제거된 후에도 식분증이 지속될 수 있는데, 비록 나쁜 방법이긴 해도 주인의 관심을 끌려는 의도로 그러는 것이다.
또한, 흉내의 행위로 식분증이 나타나는 사례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강아지들에게서 자주 보인다. 주인이 배설물을 치우는 것을 보고 배설물이란 치워야 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배설물을 먹어 치움으로써 주인을 흉내 내는 것이다.
다른 개들이 배설물을 먹는 것을 따라 할 수도 있다. 반려견을 여러 마리 키우는 가정에서는 그중 한 마리가 복종의 의미로 다른 개의 배설물을 먹을 수 있다.
막 출산한 암컷이 제 새끼의 배설물을 먹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정상적으로 여겨지며 모성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배설물의 냄새를 따라 사냥감을 찾는 포식자들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려는 행동이다.
영양학적 원인
나쁜 식습관도 식분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필요한 영양소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배설물을 먹음으로써 영양소를 보충하려는 것이다. 반려견이 하루 한 번 밥을 먹는다면, 배고픔을 달래려고 배설물을 먹는 것일 수 있다.
반려견의 식분증을 치료하는 방법
우선, 반려견이 식분증 증상을 보인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동물병원에 데려가 의학적 원인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럴 경우에는 수의사가 적절한 치료법을 처방할 것이다.
문제가 영양적 원인에 있다면, 주인은 반려견에게 질 좋고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음식에는 지방과 섬유질이 알맞게 함유되어야 하고 필요한 영양소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하루 배식 횟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경우가 많다. 하루에 두 세 번으로 나누어 배식하는 방법이 좋다.
반려견의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행동적 원인에 의해 식분증 증세를 보이는 것이므로 반려견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을 단절하기 위해 주인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반려견이 배설물을 보기 전에 즉시 치워야 반려견이 흉내를 내려고 배설물을 먹지 않는다. 고양이 똥을 먹는 경우라면 고양이 모래를 늘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산책하는 동안이나 집에 혼자 있을 때 배설물을 먹는다면, 입마개를 씌우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식분증은 대다수가 강아지에게서 일어난다. 따라서, 강아지가 자라서 스스로 그만두기를 기다리는 편이 좋다.
벌을 주는 것은 피하기를 권한다. 반대로, 상을 주며 긍정적인 행동을 끌어내도록 한다. 반려견이 막 배설물을 먹으려 할 때 장난감이나 공을 던져 주의를 분산시키고 성공한다면 보상을 줄 수 있다.
반려견 행동 전문가들은 먹이에 특정 물질을 첨가해 반려견이 싫어하는 맛과 냄새를 지닌 배설물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방법을 권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배설물에 뿌릴 수 있는 제품도 있는데 같은 효과를 낸다. 이런 제품 일부는 맵거나 반려견이 싫어하는 향을 지닌다. 이러한 대책을 시도하기 전에 수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식분증의 위험
식분증은 반려견의 건강에 해를 끼친다. 배설물은 기생충, 진균,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있을 수 있고 고양이 똥인 경우에는 주혈원충병의 위험이 있다. 내장 기관에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은데, 그중 기생충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