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거대식도증 및 치료

이 질병은 식도를 확장시켜 물이나 음식을 삼킬 수 없을 정도로 개 식도의 상태를 악화시킨다.
개의 거대식도증 및 치료

마지막 업데이트: 13 2월, 2019

개의 거대식도증은 심각한 예후를 가진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보다 개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불행하게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이런 종류의 상태는 반려동물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개의 거대식도증 및 치료에 관해 알아보자.

개의 거대식도증

이 질병은 개 식도의 확장 및 이동성 상실로 정의된다. 이러한 유형의 부상은 식도가 음식과 수분을 삼키는데 필요한 식도의 이동성을 완전히 상실하게 만들 수도 있다.

식도의 확장은 그레이트데인, 저먼 셰퍼드 또는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같은 크기가 큰 견종들에 더 흔히 나타난다. 또한 선천성 질병일 수 있다. 즉 태어날 때부터 발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대식도를 가지고 태어나기 가장 쉬운 품종은 와이어 헤어드 폭스테리어와 미니어쳐 슈나우저이다.

개의 거대식도증 및 치료

개의 거대식도증 원인 및 증상

개의 거대식도증 발병의 가장 흔한 증상은 음식을 먹은 직후 또는 몇 시간 후에 음식이 역류하는 경우이다. 기타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구토
  • 기침
  • 코 분비물
  • 호흡 중 소음 증가
  • 체중 감량
  • 비정상적 식욕 증가 또는 감퇴
  • 입 냄새
  • 성장 저하

거대식도증의 가장 심각한 결과 중 하나는 흡인성 폐렴이다. 이 호흡기 질병은 음식, 침, 액체 또는 토사물이 폐에 직접 흡입될 때 발생한다.

개의 거대식도는 선천적인 것일 수 있다. 즉 태아가 자라는 동안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다른 질병과 연관된 부차적인 질병일 수도 있고, 유전과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거대식도증 발생의 부차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거대식도증 진단 및 치료

일단 수의사가 동물의 임상 기록을 읽고나면, 필요한 모든 검사를 할 것이다. 그리고 개가 구토를 하거나 음식이 역류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주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확인할 것이다. 이 세부 사항들을 통해, 수의사는 다른 가능한 소화기 질환들을 배제할 수 있다.

개의 거대식도증 및 치료

개의 토사물의 모양, 색깔, 소화되지 않은 고체 입자의 유무 또한 진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그 밖에, 다른 일반적인 검사들은 혈액과 소변 표본 검사이다. 다른 어떤 질병이 있지는 않은 지 수의사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식도경 검사는 수의사가 당신의 반려동물의 식도에 있는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식도가 얼마나 확장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다.

치료법에 대해서는, 부차적인 거대식도증의 경우, 주요 원인이 되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불행하게도 만약 반려견이 먹을 수 없는 상태라면, 비위관을 통해 먹이를 주어야 할 것이다.

만약 반려견의 통증 완화 치료가 선천성 거대식도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처방이라면, 약 4시간마다 개를 뒤집어 줘야 한다. 또한 반려견을 부드러운 매트리스 위에 재우고, 유동식을 먹여야 한다.

이 글은 어떤가요?
개가 경련을 일으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My Animals
읽어보세요 My Animals
개가 경련을 일으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경련은 신경계 질환에 의한 증상으로, 몸이 부르르 떨리며 의식을 잃기까지 하는 일도 있다. 개가 경련을 일으킨다면 즉시 진찰을 받아야 한다. 경련은 질병이나 몸 상태로 인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경련 자체를 질병이라고 여기는 것은 흔한 실수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exfield, N. H., Watson, P. J., & Herrtage, M. E. (2006). Esophageal dysmotility in young dogs.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https://doi.org/10.1892/0891-6640(2006)20[1314:EDIYD]2.0.CO;2

'My Animals'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