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 추위를 탈까?

개도 추위를 탈까?

마지막 업데이트: 18 9월, 2018

개도 추위를 타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개들은 털이 보호해주니 괜찮으리라는 생각을 많이들 한다. 분명 털이 추위를 막아주기는 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 그 이유를 알아보자. 털을 지닌 동물인 개도 추위를 견딜 수 있으리라는 생각은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그러니 추위를 막아줄 옷도 필요 없으리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개들도 추위와 더위에 시달린다.

추위는 반려견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칠까?

개도 추위를 탈까?

사람과 마찬가지로 반려견도 추위 탓에 아플 수 있다. 이를테면, 습도 때문에 귀에 습기가 찰 수 있고 말려주지 않으면 귓병에 걸릴 수 있다. 늘 반려견의 귀를 잘 살펴보아야 하는데, 특히나 연중 가장 추운 시기에는 더 신경 써야 한다.

몹시 춥거나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 사는 개들에게는 귀 외에, 다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개의 발바닥은 매우 예민한 부위이므로, 눈과 얼음 또는 춥거나 습도가 높은 곳을 지날 때는 특히나 발바닥을 보호해야 한다.

발바닥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꽁꽁 언 땅이나 눈 위를 지나기 전후로 보습크림이나 바셀린을 발라주는 것이다. 알로에베라 역시 권할만하다.

개도 추위를 탄다니 겨울옷을 장만해주어야 할까?

추운 지역이나 겨울이 혹독한 곳에 산다면 겨울옷을 장만해주어야 한다. 집에서 덮을 담요뿐만 아니라, 밖에 나갈 때 입을 옷도 필요하다.

개에게 옷을 입히는 행위가 과시하기 위함이라거나 사치를 부리는 일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기는 하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니다. 추울 때는 반려견도 옷이 필요하다.

개가 추위를 가장 많이 타는 부위는 등 아래쪽과 허벅지 윗부분이므로, 옷이 잘 덮어주어야 함을 기억하자.

반려견이 추운지 아는 법

가장 먼저 숙지해야 할 점은 모든 개가 추위를 막아줄 피하지방과 털로 뒤덮여있다고 해도 모두 같은 양을 지니는 건 아니므로, 다른 개보다 더 추위에 예민한 개가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치와와는 다른 개보다 털이 짧고 크기가 작아 피하지방도 적다. 따라서, 치와와 같은 소형견이나 강아지에게는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반려견이 추위를 타는 중인지 알아보려면 다음과 같은 증세가 보이는지 관찰한다.

개도 추위를 탈까?
  • 떨림: 산책 도중 반려견이 몸을 떤다면 바람이 불어 추워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이 덜 부는 곳으로 가서 품에 안고 떨림이 잦아드는지 지켜본다. 집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편안하고 따뜻한 담요를 준비해준다.
  • 졸음: 평소보다 더 피곤해한다거나 웅크려서 자고만 싶어 한다면, 개는 자기 체온으로 몸을 따뜻하게 하고 추위를 잊으려고 잠을 청하는 것일 수 있다.
  • 느린 호흡: 평소보다 호흡이 느리다면 추위가 원인일 수 있다.
  • 건조한 피부: 낮은 기온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든다. 반려견의 피부가 평소보다 건조하다면 추위 때문인지 확인하고, 그럴 경우 몸을 덮어준다.

반려견이 보내는 신호를 관찰하고 추위를 막아준다. 동물도 우리와 비슷하게 추위와 더위를 힘들어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My Animals'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