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비만을 예방하는 신체 활동

신체 활동과 건강한 생활 습관은 반려동물과 보호자 모두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반려견의 비만을 예방하는 신체 활동

마지막 업데이트: 23 12월, 2020

날씨가 좋을 때 반려견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 활동들이 있다. 반려견의 비만을 방지하고 재미도 보장하는 신체 활동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사람들이 운동이나 마라톤을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최소한 15분의 워밍업을 해야 한다. 이것은 개도 마찬가지이다. 개 역시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근육을 준비시키기 위해 최소한 10분의 워밍업이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부상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 목줄의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잡고 반려견과 보호자 사이의 거리를 약 60cm 가량으로 유지한다. 한 방향으로 약 2분 가량 빠르게 걷는다. 그런 다음 방향을 바꿔 2분 동안 걷는다. 이것을 최소한 4번 가량 반복한다.
  • 4번째 방향을 바꾼 다음 가벼운 속보나 달리는 수준으로 속도를 높인다. 2분 씩 앞뒤로 움직인다.
  • 반려견의 목줄을 잡고 있는 동안 보호자의 어깨 운동을 위해 반려견을 가만히 멈추어 있게 한 다음 목줄을 잡은 상태로 보호자가 반려견을 한바퀴 돈다. 반려견의 어깨 운동을 위해 보호자가 멈추고 반려견이 한바퀴를 돌 수 있도록 한다.

반려견의 비만을 예방하는 신체 활동

자전거타기, 스케이트 타기, 공 놀이

반려견의 비만을 예방하는 신체 활동

건강한 생활 습관은 하룻밤 사이나 일주일에 두 번 운동을 하는 정도로 간단하게 체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반려견이 뚱뚱해지지 않고 건강하기를 바란다면 매일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일주일에 두 번하는 운동으로 반려동물에게 완벽한 운동 습관을 만들어주여 하는 것은 동물에게 너무 가혹한 일이 될 수 있다. 반려동물과 매일 하면 좋은 간단한 몇 가지 운동 방법이 있다:

  • 먼지 쌓인 자전거를 가지고 나가 반려견과 함께 자전거를 탄다. 집 주변을 가볍게 몇 바퀴 돌며 반려견이 잘 따라오는지 확인한다. 번잡한 도시에 살고 있다면 자전거를 타고 반려견과 함께 운동을 나가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사람이 많은 곳에 갈 때는 반려견이 제대로 훈련을 받았고 낯선 사람들이 있어도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는지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30분 정도의 짧은 운동으로도 반려견과 보호자 모두에게 충분히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스케이트를 타러 가는 것도 좋다. 반려견과 산책을 나갈 때 스케이트를 가지고 나가 함께 훨씬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보호자는 스케이트를 신고 반려견이 자신을 끌게 한다. 마치 썰매견처럼 말이다. 반려견이 너무 세게 당길 경우에는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반려견이 뚱뚱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운동 중에는 전통 깊은 공 놀이도 포함되어 있다. 거주 지역이 도시이건 시골이건 거의 어디서나 공놀이를 할 수 있다.
  • 또 하나 좋은 놀이는 어질리티 게임이다. 보호자와 반려견이 서로 경쟁하며 반려동물의 신체와 정신을 모두 다 자극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설이 갖추어져있는 장소들도 다수 있다.
반려견의 비만을 예방하는 신체 활동

소형견에게 좋은 신체 활동

물론, 소형견도 대형견 못지 않게 신체 활동을 좋아한다. 심지어 소형견은 실내에서도 충분히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글은 어떤가요?
운동신경이 뛰어난 견종
My Animals
읽어보세요 My Animals
운동신경이 뛰어난 견종

개는 주인을 무척 닮는다. 활동적이고 활발한 사람이라면 똑같은 성격의 반려견을 키우고 싶을 것이다. 운동신경이 뛰어난 견종이 많다. 반려견을 입양하기 전에 특별히 뛰어난 견종 목록을 알고 있으면 좋을 것이다. 다음은 활발하고 활기찬 성격이 특징인 10가지 견종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My Animals'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