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을 알아챌 수 있을까?

개는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을 알아챌 수 있을까?

마지막 업데이트: 06 8월, 2018

상대방의 의도를 감지하는 능력

개는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을 알아챌 수 있을까?

우리의 네 발 달린 친구는 어떤 상황에서든 주인을 구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행동한다.  최근 출판된 학회지 ‘현대 생물학(Current Biology)’에서 개는 사람의 특정 행동을 예측하는 능력이 있다고 밝혔다.

한 실험에서 개는 한 방에 있는 사람 중에서도 눈을 마주친 사람을 더 잘 따라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6개월 이상 된 아기가 보이는 능력이기도 하다.

개는 사람이 보내는 미묘한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는 사람이 개와 한 공간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달한 능력인 것이다.

그러다면 개는 어떻게 자기 표현을 할까? 바로 표정을 통해서 한다.

‘학습과 행동(Learning & Behavior)’에서 발표한 이전 연구에서 가정에서 길러진 개는 자신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에게만 음식을 달라고 조르는 못모습을 보였다. 반면 관심이 없어 보이는 사람에게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개는 165개의 단어까지 배울 수 있는 지능이 있다. 이는 약 두 살짜리 아이의 지능과 같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개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행동 분석을 하였다. 첫 번째 집단에 있는 실험견에게 사람이 “안녕”이라고 말하면서 눈맞춤을 한다. 하지만 두 번째 집단에는 눈맞춤을 생략했다. 결과적으로 두 번째 실험견들은 첫 번째 집단보다 사람에게 관심을 덜 나타냈다.

진실성을 판단하는 능력

개는 본능이 상당히 발단한 동물로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뛰어난 지능을 가진 동물이다. 사람이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부분도 그들은 매우 예민하게 감지한다. 그리고 주인의 감정도 잘 읽어서 당신이 행복하거나 화가 났는지 정확하게 파악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믿을 만한지 아닌지도 알아차린다. 만약 그 사람을 신뢰하지 않으면 명령을 따르지 않고 한 발짝 떨어져서 예의주시한다.

‘동물 인지(Animal Cognition)’는 교토 대학교에서 개가 신뢰하는 사람에게 보이는 행동에 관해 실험한 내용을 발표했다. 실험에서는 총 34마리의 개가 관찰 대상이었다.

실험 대상에게 음식이 들어있는 통과 비어있는 통 그리고 음식이 감춰있어서 보이지 않는 통을 보여주고 누가 신뢰할 만한 사람인지 판단하도록 했다.

이후에 개들은 스스로 믿을 만 하다고 판단한 사람이 내리는 명령만 따랐다. 실험을 주도한 아키코 타카오카는 실험에 참가한 개들이 사람의 진실성을 판단할 수 있는 이유가 그들이 인간보다 사회적인 지능이 더 발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나쁜 의도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능력

개는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을 알아챌 수 있을까?

앞서 살펴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반려견이 “나쁜 사람”을 구분하는지 이해가 됐을 것이다. 만약 집에 새로운 친구를 초대했는데 반려견이 짖고 낑낑거린다면 그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개의 반응이라고 넘겨 버리지 말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보이는 반응과 어떻게 다른지 잘 살펴보고 그 사람에게만 계속 불편한 반응을 보인다면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반려견이 믿고 따르는 사람이라면 주인에게 위험하지 않다는 뜻이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My Animals'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