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적의 주먹을 휘두르는 사냥꾼, 갯가재의 특징

갯가재는 호전적인 갑각류로 구멍을 파서 생활한다. 주로 은신처 근처에 온 먹이를 습격하여 잡아먹지만 가끔 사냥을 나가기도 한다.
무적의 주먹을 휘두르는 사냥꾼, 갯가재의 특징
Luz Eduviges Thomas-Romero

작성 및 확인 생화학자 Luz Eduviges Thomas-Romero.

마지막 업데이트: 21 12월, 2022

갯가재 종류는 크기가 다양하며 몸길이도 13cm~41cm로 천차만별이다. 껍데기 색 역시 갈색부터 원색 또는 형광 빛으로 여러 가지인데 이번 글에서는 갯가재 또는 사마귀 새우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갯가재과에 속하는 갯가재는 척추가 없는 갑각류로 약 400종이 현존한다. 또 단패아목에도 속하는 갯가재는 새우잡이, 바다 사마귀, 그리고 엄지 절단기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준비된 싸움꾼, 갯가재

갯가재는 호전적인 성향이 강한 동물로 집게발의 위력이 엄청나다. 겸자 모양의 집게발 한 쌍은 마치 사마귀의 앞발과 비슷하다. 집게발 모양에 따라 갯가재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작살형 집게발 갯가재: 제2가슴다리가 끝이 작살 또는 화살처럼 뾰족해서 먹잇감을 빠르고 힘차게 찌른다
  • 망치형 집게발 갯가재: 끝이 뭉뚝한 망치 같은 집게발로 먹잇감을 때려잡는다. 정확하게 펀치를 날리는 복싱 선수 같다고 해서 복서 새우라고도 부른다. 한쪽 다리 끝이 뾰족해서 먹잇감을 잘라 먹기도 한다

민첩성과 공격성 덕분에 두 종류의 갯가재 모두 자기 몸집보다 큰 먹잇감 사냥에도 유능하다. 무려 8배나 더 큰 사냥감을 포착한 모습이 기록되기도 했다.

갯가재 새우

갯가재 펀치의 과학적 사실

물 흐름이 빠른 수중에서 정교한 펀치를 날리려면 속도가 중요하다. 빠르게 상대를 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처럼 작용하는 특별한 근육이 민첩성을 높인다.

망치형 집게발을 가진 갯가재 종류의 핵 펀치 속도는 무려 시속 50m나 된다고 한다.

갯가재의 집게발은 탄성이 뛰어난 안장형 구조로 되어 있어서 신근과 굴근이 동시에 수축한다. 적절한 순간에 굴근을 이완해서 집게발을 빠르게 뻗을 수 있다.

집게발 충격이 아니면 놀라서 죽는 먹잇감

과학자들은 집게발의 어마어마한 속도 때문에 공동 현상 기포가 생긴다고 한다. 공동 현상 기포는 수압 차이에 반응하여 생기는 거품을 말한다.

기포는 수압이 더 센 곳으로 이동하여 다시 액체 상태로 변하며 터진다. 기포가 터질 때 큰 힘이 발생하여 충격을 주면서 진동과 소음까지 발생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공동 현상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힘이 먹잇감에 이중 충격을 줘서 집게발에 직접적으로 맞지 않아도 기절하거나 죽기도 한다.

강한 타격에도 부서지지 않는 갯가재의 껍질

핵 펀치를 날리는 집게발이 부러지지 않는 이유는 갯가재만의 쿠션 효과를 내는 세포핵의 독특한 분자 구조 덕분이다.

갯가재의 집게발이 충격에 강한 이유는 불리간드 구조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합판 외층처럼 갯가재의 골격은 아래와 같은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상부층이 인체 뼈와 비슷하게 무기질화된 바이오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층은 밧줄처럼 섬유 모양으로 되어 있다
  • 내층은 이완했을 때 더 강해져서 유연성을 보조하는데 내층이 없으며 집게발을 쓰는 갯가재가 다칠 수 있다

무기에 따라 달라지는 사냥법

갯가재는 망치형보다 작살형 집게발을 가진 종류가 더 많다. 종류별로 사냥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다음에서 이야기하겠다.

작살형 집게발을 가진 갯가재는 은신처를 나와서 주로 껍질이 단단하고 움직이지 않는 먹잇감을 사냥한다. 먹잇감의 속살이 드러나도록 껍질을 깨거나 물고기, 새우 또는 상어 새끼도 사냥한다.

반대로 망치형 집게발을 가진 갯가재는 습격을 즐긴다. 조용히 은신처에 숨어서 먹잇감이 다가올 때까지 기다리는데 주로 달팽이, 굴, 게와 연체동물을 잡아먹는다.

갯가재 핵 불리간드

갯가재는 상상 이상으로 복잡한 생물이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사냥 직전의 갯가재는 뼈를 부러뜨릴 만큼 위험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Tadayon, M., Amini, S., Wang, Z., & Miserez, A. (2018). Biomechanical design of the mantis shrimp saddle: a biomineralized spring used for rapid raptorial strikes. iScience, 8, 271-282.
  • DeVries, M. S., Murphy, E. A. K., & Patek, S. N. (2012). Strike mechanics of an ambush predator: the spearing mantis shrimp.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15(24), 4374-4384.
  • Abelló, P., & Guerao, G. (2015). Orden Stomatopoda. Revista IDE@–SEA84, 1-10. http://sea-entomologia.org/IDE@/revista_84.pdf
  • Sakes, A., van der Wiel, M., Henselmans, P. W., van Leeuwen, J. L., Dodou, D., & Breedveld, P. (2016). Shooting mechanisms in nature: a systematic review. PLoS One11(7).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