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볼 수 있는 반려견 벌레 물림 증상과 관련 곤충

반려견이 벌레에 물리는 일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는 것도 책임감 있는 보호자가 해야 할 일이다.
흔히 볼 수 있는 반려견 벌레 물림 증상과 관련 곤충
Luz Eduviges Thomas-Romero

작성 및 확인 생화학자 Luz Eduviges Thomas-Romero.

마지막 업데이트: 21 12월, 2022

반려견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곤충 종류는 모기, 벼룩, 빈대와 진드기는 물론 말벌과 벌 등 매우 다양하다. 반려견의 벌레 물림 증상은 곤충의 타액 때문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한다.

곤충의 침에는 오랜 세월을 살아온 만큼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항응고제, 혈관 확장제와 마취 성분은 물론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면서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도 포함한다.

극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벌레 물림

벌레 물림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동물들이 있다. 심한 경우 면역계 전체가 무너져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오기도 한다.

드물지만 벌레 물림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발생하면 이상 행동, 호흡 곤란과 부종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는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을 방문하자.

모기 물림과 심장사상충증

심장사상충증은 우심실과 폐동맥 내 기생하는 사상충 감염에 의한 질병으로 모기가 중간숙주이며 자충은 말초 혈관에서 관찰된다. 안타깝게도 사상충 유충 검사는 잘못된 결과가 나올 때도 종종 있다.

벌레 물림 심장

심장사상충증은 중간 숙주인 모기에 의해 감염된다. 감염 동물의 피를 빤 모기가 다시 다른 동물을 물면 모기 체내에서 유충으로 성장한 심장사상충이 전염된다.

심장사상충은 반려견 체내에서 최대 31cm까지 자라며 폐, 동맥과 심장을 손상한다. 치료가 가능하지만 모기에 물리지 않게 조심하고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급여한다.

벌레 물림: 진드기와 라임병

진드기에 물리면 라임병 같은 질환에 걸릴 수 있다. 라임병은 보렐리아균이 신체에 침범하여 여러 기관에 병을 일으키는 감염 질환이다.

반려견의 라임병을 예방하려면 당연히 진드기 물림을 조심해야 한다. 최대한 빨리 반려견 몸에 붙은 진드기를 떼어내야 한다. 진드기와 48시간 이상 접촉했을 때도 해충을 박멸한다.

진드기를 그냥 두거나 물린 곳을 치료하지 않으면 라임병이 관절과 신경계를 망가뜨린다.

벼룩과 바베스열원충증

바베스열원충증 또는 바베시아증은 주로 적혈구에 기생하는 바세스열원충에 감염된 질환으로 진드기 물림으로 전염된다.

감염자나 동물의 수혈 또는 선천성 전염으로 전파된다. 잠복기는 평균 2주 정도로 증상이 가벼워서 몇 달 혹은 몇 년 후 병을 발견하기도 한다.

벌레 물림 심사충

벌레 물림: 파리와 구더기증

주로 쇠파리, 쉬파리, 금파리류의 유충인 구더기가 털이 난 짐승의 피하 조직을 상처 입혀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아물지 않은 상처 안에 낳은 알은 며칠 만에 부화해서 유충이 표피 위로 기어 나오거나 피하 조직보다 더 깊이 체내로 파고들어서 2차 부종과 감염을 생기게 한다.

부위에 따라 피부구더기증, 안구구더기증, 귀구더기증와 비뇨생식기구더기증 등으로 분류한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척추동물이 감염될 수 있으며 전 세계 어디서든 볼 수 있다. 특히 우기에 더 잘 발생한다.

모래 파리와 리슈만편모증

원충 감염 질환으로 전 세계 반려견과 일부 설치류에게서 발병한다. 남미와 지중해 교외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모래 파리가 병원체를 퍼뜨린다.

리슈만편모증은 인수공통질환이지만 감염된 개에 의해 전염되는 일은 절대로 없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scobar, A., Edmundo, F., & Arteaga Domínguez, C. E. (2009). Prevalencia de Leishmania spp. en cánidos domésticos de dos cantones del municipio de San Ildefonso, departamento de San Vicente, El Salvado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dad de El Salvador).
  • Camacho, A. T., Pallas, E., Gestal, J. J., Guitián, F. J., & Olmeda, A. S. (2003). Parasitación por Babesia canis en Galicia. Clínica veterinaria de pequeños animales, 23(1), 0050-53.
  • Kníght, D. H. (1987). Heartworm infection.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 Small Animal Practice, 17(6), 1463-151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