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에 걸린 반려견 간호와 식단 관리


작성 및 확인 생화학자 Luz Eduviges Thomas-Romero
당뇨병에 걸린 개는 섬유질 함량이 높고 영양분이 골고루 함유된 맛있는 식단을 급여해야 하고 다음에서 이야기할 필수 관리 사항도 모두 세심히 챙겨야 한다.
당뇨병에 걸린 반려견은 글루코스를 대사하는 인슐린 분비 수치가 부족하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변환하여 체내 대사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높아지고 신장이 소변을 여과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악화될 수 있다.
당뇨병에 걸린 반려견 증상
당뇨병에 걸리면 소변으로 글루코스만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삼투 현상으로 수분까지 함께 빠져나간다. 당뇨병에 걸린 반려견은 평소보다 소변량이 급증하여 체내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갈증을 느끼며 물을 많이 마시게 된다.
당뇨병 초기 증상은 아래와 같다.
- 다뇨증: 소변 분비와 배설이 병적으로 많아짐
- 조갈증: 과도한 수분 섭취
또 당뇨 증상이 있는 반려견은 점점 살이 빠진다. 감량 원인은 간에서 글루코스 생산을 위해 근육 내 여분의 지방과 단백질을 소모하기 때문인데 지방이 글루코스로 바뀌면서 케톤이라는 독성 물질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기타 당뇨병 증상으로는 당뇨, 대식증, 체력 약화와 염증 재발 등이 있다.
더 읽어보기: 반려견의 체중 감소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

당뇨병에 걸린 반려견 치료 목적
반려견의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보호자가 기억해야 할 세 가지 목적이 있다.
- 의학적 증상 해결: 백내장을 제외한 앞서 언급한 모든 증상을 말한다. 당뇨병에 걸린 개는 백내장이 발병하면 실명으로까지 이어지지만 혈당 수치와는 관계없다
- 인슐린성 저혈당증: 인슐린은 당뇨병 치료의 기본이며 핵심으로 매일 두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만 증상을 통제할 수 있다. 물론 인슐린 주사 용량을 정하는 것은 수의사다
- 운동을 포함한 일상생활 복귀: 무기력 증상은 빠르게 회복할 수 있어서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면 반려견은 예전처럼 활발해질 것이다
인슐린성 저혈당증 조절이 중요한 이유
인슐린 과다 투여로 저혈당증이 심해지면 뇌 손상, 실명, 경련과 죽음을 유발할 수 있다. 증상은 체력 저하, 거식증, 빈맥과 설사 등이다.
더 읽어보기: 반려견의 당분 섭취는 왜 건강에 안 좋을까

반려견의 당뇨병 증상 완화를 위한 식단
반려견이 당뇨병에 걸렸다면 투여한 인슐린 활동 수치가 최고조에 달하기 직전 먹이를 급여한다. 즉, 인슐린 주사를 놓은 직후 먹이를 주는 것이 좋다.
집에서 인슐린 주사를 놓을 수 있다면 치료 과정이 단순해지고 혈당 수치를 관리하기도 편할 것이다. 반려견이 주사를 맞은 직후 마음껏 안고 칭찬해줄 수 있어서 많은 보호자가 집에서 치료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표 1. 당뇨병에 걸린 개를 위한 식단 추천 요약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Rucinsky, R., Cook, A., Haley, S., Nelson, R., Zoran, D. L., & Poundstone, M. (2010). AAHA diabetes management guidelines for dogs and cats. Journal of th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46(3), 215-224.
- Fleeman, L. M., & Rand, J. S. (2001). Management of canine diabetes. Veterinary Clinics: Small Animal Practice, 31(5), 855-880.
- Hoenig, M., Laflamme, D. P., Klaser, D. A., Singer, M. J., & Ferguson, D. C. (2001). Glucose tolerance and lipid profiles in dogs fed different fiber diets. Journal of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 160-169.
- Rand, J. S., Fleeman, L. M., Farrow, H. A., Appleton, D. J., & Lederer, R. (2004). Canine and feline diabetes mellitus: nature or nurture?. The Journal of Nutrition, 134(8), 2072S-2080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







